숭산스님과 화계사 국제선원장 현각스님과의 인연

화계사 국제선원장 현각 스님.
현각 스님(화계사 국제선원장)이 숭산 스님을 처음 만났을 때다. 숭산 스님이 묻는다.

" 당신은 누구세요?"
나(현각 스님)는 순간 당황했지만 곧 입을 열었다.
" 제 이름은 폴입니다."
" 그건 당신 몸의 이름입니다. 누군가, 즉 부모님께서 당신에게 주신 것입니다.
나는 당신의 진짜 이름을 알고싶은 겁니다."
"……"
" 올해 몇 살이에요?"
" 스물여섯살입니다."
" 그것 역시 당신 몸의 나이입니다."

큰스님은 나의 무릎을 탁탁 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 당신의 몸은 당신이 아닙니다. 나는 당신의 진짜 나이를 알고 싶어요."
나는 완전히 할말을 잃었다. 그동안 살아오면서 그 누구도, 예일 대학과 하버드 대학의 어떤 교수님도 나에게 그런 질문을 하지 않았다. 나는 큰스님의 질문에 대답을 할 수 없었다. 아니, 제대로 입을 열 수가 없었다. (<만행, 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열림원) 중에서)

베스트 셀러 <만행, 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의 저자인 미국인 현각 스님은 이 책에서 11월 30일 입적한 스승 숭산 스님과의 인연을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진리, 삶, 죽음 이런 것들이 궁금했어요. 대학과 대학원에 들어가 서양철학을 공부한 것도 '뭔가'를 찾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지요. 그러던 1990년 5월 하버드 대학원 대강의실에서 특별 강연을 한 한국의 숭산 큰스님을 만났습니다. 그는 마음이 무엇이냐, 인간이 무엇이냐, 고통은 어디에서 오느냐, 삶은 무엇이냐 이런 거대 담론에 대해 너무도 간단명료하고 막힘없는 대답으로 좌중을 파고들었습니다. 큰스님은 진리를 찾고 싶으면 수행을 하라고 했어요. 배고픈 사람에게는 밥을 줘야 하지 밥이 그려진 그림을 보여줘서는 안된다고 하면서요. 책이나 지식이란 바로 그 그림이라고 하셨지요. 강의가 이어지는 두시간동안 나는 너무 놀랐습니다. 어릴 때부터 가졌던 진리에 대한 의문과 갈망이 그제서야 풀리는 듯한 느낌, 이제야 진정한 스승을 만났다는 생각에 그날 밤 잠을 못 잤습니다."

<만행>에는 현각 스님의 어린시절부터 숭산 스님을 만나 스님이 되기까지, 그리고 외국인 수행자로서 느끼는 불교와 한국에 대한 이야기들이 생생하게 실려 있다.

어린시절 종교적 전통을 강하게 고수해 온 집안에서 자란 폴 뮌젠은 '진리'에 대해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된다.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예수의 말을 따라 진리를 찾아 한없이 고민하던 시절, 그가 다닌 교회와 학교는 그에게 또 다른 의문과 회의를 안겨주었을 뿐 도움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 2월 어느날 하버드신학대학원에 다니던 저자는 숭산 스님의 강연을 듣고 충격을 받는다. 그가 품었던 의문들의 해답이 숭산 스님의 어눌한 영어 강연속에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미국과 독일의 유명대학에서도 찾기 못했던 '진리'가 바로 선(禪)안에 있었던 것이다.

키에르케고르와 쇼펜하우어를 통해 신과 종교에 대해 고민하던 청년 폴 뮌젠은 이렇게 해서 현각 스님으로 다시 태어나 구도생활을 시작한다. 가정, 종교, 명문대학 등 모든 것을 버리고 이역만리 한국땅을 찾아와 수행해 오다, 이제 사제지간의 인연을 다하게 된 것이다.

화계사 국제선원의 선원장을 맡아 국제포교의 과업을 이어받은 현각 스님은 <만행>의 에필로그에서 “전세계로 다니시다 보니 많은 한국 사람이 큰 스님에 대해 알지 못하고 그 위대한 가르침도 접하지 못해 안타깝다”면서 ”큰스님의 지칠 줄 모르는 열정과 희생을 통해 이제 전세계 사람들 은 삶의 희망과 용기를 갖게 됐다”고 밝히고 있다.

현각 스님은 11월 30일 스승의 입적 소식을 전하며 “너희들 조심해라. 몸도 믿을 수 없고, 마음도 믿을 수 없다. ‘오직 모를 뿐(Only don't know)’이란 화두를 챙기라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2004-12-02 오후 2:24:00
김재경 기자
jgkim@buddhapia.com

붓다뉴스에서...http://buddhanews.com/news/BNC000/BNC0001362.html

Posted by 【洪】ILHO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