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작가 최민식, 시인 조은이 엮어낸 감동의 사진 에세이 

미디어다음 / 김준진 기자







삶이 고단하고 힘드신가요?
‘인간의 불행이라는 악성바이러스를 꿋꿋이 이겨낼 수 있게 하는 항체’가
여기 있습니다. 50년간 인간을 주제로 삶의 진실을 파헤쳐왔던 사진작가
최민식(76)씨의 사진을 보고 있노라면 '불행'을 껴안는 그의 넉넉한 품이
그려집니다. 최근 시인 조은씨가 최씨와 함께 펴낸 사진집 ‘우리가 사랑해야
하는 것들에 대하여’(샘터)는 고단한 삶을 응시하는 두 사람의 영혼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최씨는 주로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생생하게 사진으로 담아왔습니다.
그의 작품에는 장사하다 끌려가는 아주머니와 고구마 몇 개 얹어놓고 행상을
벌이는 아이와 어머니, 길가에 지친 몸을 기댄 부자(父子) 등 고단하고 남루한
일상이 연이어집니다. 그 자신 또한 팔리지 않는 사진만 찍느라 줄곧 가난과 함께
살았습니다. 이 때문에 그네들 삶의 진실이 더욱 진하게 그의 사진에 묻어나는지도
모릅니다.

최씨의 카메라가 이처럼 언제나 낮은 곳을 향해 치열하게 움직이며 찍어낸
사진에 시인 조은씨가 간결한 글로 새로운 생명의 입김을 불어넣었습니다.
그는 최씨가 1950년대 후반부터 2004년까지 담아온 여러 서민들의 모습과
느낌에 감동을 더해주었습니다.

그들이 찍고 써 내려간 과거의 불행으로 잠시 되돌아가봅니다.
과거를 보면서 힘겨운 현재를 잠시 위로 받아봅니다.
인생을 담은 노사진작가와 한 중견시인의 질퍽한 감동의 사진에세이를
이제부터 간략하게 소개해봅니다.




어머니...어머니












왜 어머니의 팔은 아이를 품어줄 수 없는 것일까요?
왜 어린 소녀는 힘겹게 누군가를 업고 있는 것일까요?
(1969년 부산. 자갈치 시장에서 서 있는 어머니 젖을
누나 등에 업힌 채물고 있는 아이의 모습.
어머니는 손에 밴 비린내 때문에 아이를 안지 못 하고 있다.)














거리의 어머니는 아이의 잠을 지켜주고 있는 것일까요,
아이의 죽음을 거부하고 있는 것일까요?
어머니는 이 순간, 손을 내밀 사람이 있기나 할까요?
(1961년 부산. 길가에서 구걸하고 있는
모녀의 모습이 뒤에 있는 간판과 대비된다.)














삶을 응시하는 자들이 키워가는
세계에서 우리들이 살고 있습니다.
(1976년 부산. 자갈치 시장의 생선장수 아주머니가
아이를 업고 자장면으로 점심식사를 대신 하고 있는 모습)














고되게 살아가는 자들에게서 느껴지는 아슬아슬한 질서와
안정감이 외면하고 싶을 만큼 서글픕니다.
(1959년 부산. 한 부둣가에서 생계를 위해 찐고구마를 팔고 있는
모자의 모습은 오히려 잘 먹지 못 해 영양실조에 걸린 것처럼 보인다.)














일찍 어른의 모습이 되어버리는 아이들의 얼굴에선
미래가 암초처럼 모습을 나타내곤 합니다.
(1957년 부산. 이 시절에는 두 소녀처럼 학교도 못 가고
가사를 돌보며 사는 아이들이 많았다.)














거리의 부녀를 눈여겨보세요.
손으로 소음을 막아주고,
다리로 허우적거리는 아이를 잡아주며
아버지는 딸아이의 잠을 지켜주고 있습니다.
(1963년 부산)



인생이란...












본질에서 떨어져야만 아름다운 것들이 있습니다.
그만큼의 거리에서 빨래는 남루를 씻어버린듯
눈부시고 햇살은 명랑한 아이들처럼 골목을 뛰어다니지요.
(1963년 부산. 태극촌이라는 종교마을의 전경.
기하학적으로 보이는 이 판자촌은 당시 북한과
타지방에서 이주해온 피난민들이 주로 살고 있었다.)














불순함이라고는 없는 노동에
저토록 수모를 당해야 하다니
때로 세상의 정의가 불한당처럼 여겨지기도 합니다.
(1972년 부산. 자갈치 시장에서 한 노점상 여인이
단속반에 끌려가고 있는 애처로운 모습)














육신의 한 부분을 미리 자연 속으로 돌려보낸
사람들의 삶도 도무지 가벼워 보이지가 않습니다.
(1985년 부산. 극장가에서 비가 오거나 눈이 와도
그곳을 지키며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청년의 모습)














삶의 속도에 의해서 진창을 벗어날 때도 있고
속도 때문에 진창에 처박힐 때도 있습니다.
(1978년 부산. 역전에서 비오는 날 한 아이가 자전거를 타다가
물이 튈까봐 다리를 들어올리는 모습)














이토록 다른 정서적 이질감 때문에 웃을 수 있는 것도
아직은 우리의 정신이 여유 있기 때문이지요.

(2002년 부산. 역전의 공중전화에서 두 여인이 전화를 걸고 있지만
그 모습이 묘한 대비를 보이고 있는 장면)



희망은...












구불구불한 길에 뒤덮인 저 육체!
산다는 것은 제 몸속에 길을 내는 것입니다.

(1975년 부산. 범어사에서 주름이 깊은 할머니가
열심히 기도를 드리고 있는 모습)














어른들 세계로 팔을 쭉 뻗는 아이들은
언제나 밝은 것을 희망합니다.
그 아이들은 어둠 속에서도 열심히 빛을 향해 발돋움하겠지요.
(1980년 부산. 용두산 공원에서 놀고 있던 두 소녀가
손을 번쩍 올리고 있다. 가난하지만 행복해 보이는 모습)














자신의 삶을 스스로 더 가파른 곳에
올려놓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때라야 평지에 있는 자신을 향해 웃을 수 있는 것일까요?
(1968년 부산. 자갈치 시장에서 짐을 기다리던 지게꾼이
사진작가를 보며 활짝 웃고 있는 모습.
"잘 찍어달라"는 부탁까지 했다고.)














외로움과 죽음의 관념을 이겨내고
비로소 환해지는 우리의 영혼처럼...

(2004년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갈매기 한 마리가 할머니 머리에 잠시 앉았다.)




Posted by 【洪】ILHONG
,

사랑, 눈물, 감동..중국판 '마지막 잎새'

뇌종양 소녀 위해 텐안먼 국기게양식 재현

죽음을 앞둔 한 중국 소녀의 마지막 소원을 이뤄주기 위해 베이징 톈안먼(天安門)광장을 지린(吉林)성 창춘(長春)에 재현한 아버지와 시민들의 사랑이 중국 언론에 보도돼 많은 중국인을 감동의 물결에 휩싸이게 하고 있다.

’중국판 마지막 잎새’의 주인공은 뇌종양 말기로 이미 시력까지 잃은 8세 소녀 주신웨(朱欣月)양.

지린성 주타이(九台)시 루자(廬家)초등학교에 다니던 신웨는 지난해 10월23일 체조시간에 갑자기 쓰러져 진단 결과 뇌종양이라는 ’사형선고’를 받았다.

학교에서 반장과 각종 행사의 기수를 도맡다시피 했던 신웨는 평소 베이징 톈먼광장에서 중국 국기인 오성기가 게양되는 장면을 직접 보고싶다는 작은 소망을 갖고 있었다.

죽음을 앞둔 신웨의 안타까운 사연이 성시만보(城市晩報)에 소개되자 그의 소망을 들어주겠다는 사람들이 나서기도 했지만, 이미 머리에 물이 찬 상태여서 악화한 병세는 베이징까지의 머나먼 여정을 허락하지 않았다.

소중한 딸의 마지막 소원을 저버릴 수 없었던 아버지 주더춘(朱德春)씨는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것을 팔아 신웨의 마음 속에 남을 ’마지막 잎새’인 톈안먼광장 모형을 창춘시에 만들기로 했다.

성시만보(城市晩報)는 아버지의 ’황당한’ 생각을 다시 전했고, 창춘시의 300만 시민들이 마지막 잎새를 함께 그리겠다고 나섰다.

지난 22일 오전 9시30분, 아버지는 베이징으로 간다며 신웨와 함께 미리 준비된 버스에 올랐다. 이날 신웨의 집 앞에는 버스에 오르는 소녀의 모습을 보려고 수많은 사람들이 몰렸다.

베이징으로 가야할 버스는 창춘시 주변을 돌기 시작했다.

오전 10시30분, 버스 기사는 소녀가 들을 수 있는 목소리로 “톨게이트에 도착했다”고 소리쳤으며, 이어 버스 밖에 기다리던 사람은 각본대로 톈진(天津) 방언을 섞어가며 “이곳은 선양(瀋陽) 톨게이트입니다”라고 말했다.

버스는 다시 창춘시를 돌기 시작했고 드디어 소녀가 그리던 ’베이징’에 다다른다.

각본 속의 베이징 경찰이 버스에 올라 “이 버스는 배기가스가 기준치를 넘는 경유차로 베이징시에 진입할 수 없으니 모두 내려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말한다. 아버지 품에 안긴 신웨는 버스에서 내려, 미리 준비된 다른 버스에 올라탄다.

오후 1시15분, 버스는 신웨만을 위한 톈안먼광장이 마련된 공공관계(公共關系)학교에 들어섰다.

2천여명의 학생들이 소녀의 마지막 소원이 이뤄지는 장면을 숨죽이며 지켜보는 가운데 한 학생이 북받쳐 오르는 감동에 못 이겨 쓰러지는 일도 있었다.

오후 1시30분, 의장대가 등장하고 중국 국가가 연주되면서, 소망을 이룬 소녀의 입술에 행복한 미소가 떠올랐다. 이미 너무나 지쳐버린 신웨는 마지막 힘을 다해 손을 들어 국가에 맞춰 경례를 했고, 창백했던 소녀의 얼굴은 붉게 상기됐다.

국가 연주가 끝나고, 한 ’인민해방군’이 소녀에게 다가갔다. 신웨는 인민해방군 군복의 위장과 모표를 만져보면서 힘겨운 목소리로 “아저씨 고생 많으시네요”라고 속삭였다.

다음날 아침 눈을 뜬 신웨는 말했다. “어제 밤 꿈에 세상을 볼 수 있었어요. 병도 다 나았고 모두 함께 톈안먼광장에 가 깃발이 올라가는 것을 봤어요.”

신웨를 위한 ’마지막 잎새’ 그리기에 나선 시민들의 온정은 소녀의 가슴에 깊숙히 아로새겨져 비록 꿈이었지만 눈을 뜨게 했고 소녀의 병을 고쳤다.

------
Source: http://www.chosun.com/international/news/200603/200603250177.html

Posted by 【洪】ILHONG
,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당신이 온다고 약속했기 때문이 아닙니다.
내 마음의 소식을 전할 이는 당신밖에 없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당신을 보고 싶어서가 아닙니다.
당신에게서 사랑을 받아야 내가 살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내 빈 가슴을 채우기 위함이 아닙니다.
당신을 위해 비워 두므로 가난은 슬픔이 아님을 깨닫기 위함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흐르는 눈물을 닦기 위함이 아닙니다.
그동안 참아 온 눈물, 당신 앞에 한 방울도 남김없이 쏟아 놓기 위함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내 수고를 자랑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내 부끄러운 생각들, 당신 앞에 모두 내어 놓고 아이처럼 혼나기 위함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당신을 향한 그리움 때문이 아닙니다.
내가 당신을 찾아갈 길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함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해가 서산으로 넘어가기 때문이 아닙니다.
동산에서 떠오르는 아침 해를 사랑의 마음으로 바라보기 위함입니다.

당신을 기다리는 작은 순간들이 모여 내 인생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Posted by 【洪】ILHONG
,